건강정보

고구마 드시면서 당뇨 지원금 신청하세요!

서든리당 2023. 11. 29. 10:30

내가 처음 당뇨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유튜브를 샅샅이 뒤져 알아내고 싶었던 정보 중 하나는 바로 먹거리였다. 당뇨라니, 그럼 단 것만 안먹으면 되나? 싶어서 찾아본 결과, 그냥 모든 음식을 절식, 절제, 소식해야만 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근데 그렇다고 굶고 살 수도 없고 평생 토끼마냥 풀만 뜯어먹고 살 수는 없기에 원하는 것을 잘 먹되 적게 먹는 방법을 택했다. 그리고 그 중에 하나가 바로 고구마이다.

고구마는 맛이 좋고 영양가가 풍부다. 특히 당뇨 환자에게 고구마는 좋은 식품이다. 왜냐, 고구마는 식이 섬유가 풍부하다. 식이 섬유는 소화를 지연시켜 혈당이 천천히 증가하도록 도와준다. 이것은 당뇨 환자에게 이상적인 혈당 관리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식이 섬유는 소화과정에서 흡수되는 당의 양을 줄여주어 혈당 스파이크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로, 고구마는 대표적인 낮은 급속 소화 탄수화물이다. 낮은 급속 소화탄수화물은 혈당을 천천히 증가시키는 특징이 있어 당뇨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 이는 혈당 변화를 완화하고 혈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주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로, 고구마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다. 베타-카로틴은 식물의 색깔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식물 색소 중 하나로, 강력한 항산화제의 역할을 한다. 항산화제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당뇨 환자는 종종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합병증에 노출되기 때문에 항산화제가 유용할 수 있다. 넷째로, 고구마는 칼륨이 풍부하다. 칼륨은 혈압을 조절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뇨 환자는 종종 심혈관계 질환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칼륨 섭취는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한, 고구마에는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B6, 니아신, 엽산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다. 이는 당뇨 환자의 영양 균형을 도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맛있다고 무턱대고 먹을 수는 없다. 고구마를 음식으로 즐길 때는 조리 방법에 따라 영양소의 파괴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튀긴 고구마보다는 껍질채 쪄 먹는 등 간단한 조리법이 영양소 보존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나는 주로 끓는 물에 넣고 삶아서 먹고 있는데, 쿠팡에 보면 '한입 고구마'라고 해서 미니어쳐만한 고구마가 있다. 이걸 아침마다 하루에 두개씩 섭취하고 있는데, 크기가 작다보니 바쁜 아침에 삶는 시간을 절약할 수 도 있고 먹는데도 부담이 적다. 한마디로 쉽게 질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크기가 큰 고구마에 비해 퍽퍽함이 덜 하다는 점도 좋았다.

 

...

 

전화위복이라는 말이 있다. 나쁜 일이 오히려 좋은 일이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뜻이다. 당뇨가 아니었다면 이렇게 꾸준히 먹지도 않았을 뿐더러 삶아 먹기보단 후렌치 후라이처럼 좀 더 입맛에 맞게 먹었을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당뇨 덕에 나는 건강한 식단을 찾아가는 중이고 이것은 내 남은 인생에 분명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그러니 불평은 넣어두고 미래를 보자.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만 20~64세 중 건강관리가 필요한 국민 및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생활실천지원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예방형 시범 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부천시, 대전광역시 대덕구,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완주군, 전라남도 완도군, 부산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 남구·달성군, 경상남도 김해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리형 시범 지역]

서울특별시 중랑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서구, 경기도 남양주시, 대전광역시 동구, 광주광역시 서구, 전라남도 순천시, 대구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북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아래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로고를 클릭하면 내가 시범 사업 자격에 해당하는지, 신청 방법은 무엇인지 확인 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https://www.nhis.or.kr/nhis/healthin/healthIncvIn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