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의 적은 밀가루! 그리고 당뇨 지원금 받는 법
사실 밀가루는 모두의 적이다. 다이어트를 하거나 역류성 식도염에 걸리거나 어딘가 안좋아 한의원에 방문하면 꼭 밀가루를 먹지 말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는 큰 일을 앞두고 일단 밀가루부터 끊고 본다. 하지만 인간은 밀가루를 끊으면 날카롭고 예민하고 사나워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뇨에 걸리면 밀가루를 끊어야한다. 그냥 끊으라고 하면 어쩐지 기분이 안좋으니까 왜 끊어야하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밀가루는 왜 안좋은가? 그것이 알고 싶다.]
1. 고혈당 유발 : 밀가루 음식은 주로 탄수화물이 풍부하며, 이는 혈당 수치를 급격하게 높일 수 있다. 2. 높은 글라이세믹 인덱스 : 밀가루는 높은 글라이세믹 인덱스를 가지고 있어 혈당을 빠르게 높일 수 있다. 3. 인슐린 저항성 증가 : 과다한 밀가루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당뇨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4. 체중 증가 : 밀가루 음식은 높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어, 과다한 섭취는 체중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5. 과도한 설탕 섭취 : 많은 밀가루 제품은 설탕이 함유되어 있어, 이는 혈당을 더욱 높일 수 있다. 6. 지방 감소 : 밀가루 중심의 식사는 건강에 이로운 지방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7. 식욕 증가 : 밀가루 제품 중 고당분과 저단백질인 제품은 식욕을 증가시키고 지방을 증가시킬 수 있다. 8. 대사 증가 : 과다한 밀가루 섭취는 대사를 높여 혈당을 처리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9. 염증 증가 : 고탄수화물 식품인 밀가루는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당뇨와 관련된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10. 식사 후 졸음 : 밀가루 음식 섭취 후에 식사 후 졸음이 오는데, 이는 혈당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신호일 수 있다. 11. 에너지 불균형 : 밀가루 음식은 에너지의 불균형을 일으켜, 지속적인 고혈당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12. 기질 감소 : 밀가루 음식의 과다한 섭취는 소화기 기질을 감소시키고 소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13. 영양소 부족 : 밀가루 제품 중 일부는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어, 영양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 14. 복부 비만 증가 : 밀가루 섭취는 복부 비만의 증가와 관련이 있어, 당뇨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15. 동맥 경화 증가 : 밀가루 제품 중 지방과 설탕이 과다하면 혈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당뇨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 16. 비타민 및 미네랄 손실 : 과다한 밀가루 섭취는 비타민 및 미네랄 손실을 유발할 수 있어, 영양적으로 부족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17. 장 건강 저하 : 밀가루 제품에는 소화를 방해하는 성분이 있어, 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8. 피로 증가 : 혈당의 급격한 상승과 하락은 에너지 수준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19. 임신 문제 : 고혈당은 임신 중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특히 주의가 필요다. 20. 식욕 조절 어려움 : 밀가루 제품은 식욕을 제어하기 어려워, 과다한 섭취로 인한 고혈당이 발생할 수 있다.
밀가루가 안좋은 점을 써놓고 눈으로 읽어보니, 이 수많은 단점을 가뿐히 이겨내는 강력한 밀가루 맛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진다.
입에 단 것은 몸에 쓰고, 입에 쓴 것은 몸에 달다고 했다.건강할 때는 와닿지 않던 말이 건강에 빨간불이 켜지니 비로소 귓가에 들리기 시작한다. 진작에 관리를 했다면 좋았을까 하는 뒤늦은 후회도 찾아왔다. 하지만 후회는 나의 발목을 잡을 뿐이다.후회는 넣어두고 반성을 하려고 한다. 그리고 건강하게 늙어갈 날을 기대하며 앞으로 나아가야겠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만 20~64세 중 건강관리가 필요한 국민 및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생활실천지원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예방형 시범 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부천시, 대전광역시 대덕구,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완주군, 전라남도 완도군, 부산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 남구·달성군, 경상남도 김해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리형 시범 지역]
서울특별시 중랑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서구, 경기도 남양주시, 대전광역시 동구, 광주광역시 서구, 전라남도 순천시, 대구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북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아래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로고를 클릭하면 내가 시범 사업 자격에 해당하는지, 신청 방법은 무엇인지 확인 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https://www.nhis.or.kr/nhis/healthin/healthIncvIn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