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라면 걸으면서 국가 지원금 받아가세요!
걷기는 당뇨에 아주 좋은 운동이다.
나도 당뇨 전단계 판정을 받고 날씨에 상관없이 매일 걷는 중인데,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 보다는 장기적인 건강 관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걷기가 당뇨에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
- 혈당 조절: 걷기는 근육을 활성화하며, 근육이 활동할 때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혈당이 감소하게 되며, 인슐린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근육의 활동은 혈당을 소비하므로 당뇨 환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 인슐린 민감성 향상: 꾸준한 걷기는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슐린 민감성이 높아지면 인슐린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 체중 관리: 걷기는 체중을 감량하거나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도 병원에서 들었던 이야기 중 하나가 체중을 줄이고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이었다. 체중을 감량하면 인슐린 민감성이 향상되고, 혈당 수준이 일정하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심혈관 건강 증진: 걷기는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심혈관 질환은 당뇨 환자에게 높은 위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걷기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스트레스 감소: 걷기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시킨다. 스트레스는 당뇨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걷기는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근육 강화: 걷기는 하지 근육을 강화하고 인슐린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사방이 벽으로 가로막힌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것을 싫어하는 나에게 걷기는 정말 적절한 운동이 아닐 수 없다.
걷기는 당뇨 관리에 있어서 비교적 쉽고 효과적인 운동 중 하나이며, 꾸준한 활동이 당뇨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고 기존 환자에게는 혈당 조절을 도와줄 수 있다.
그럼 걸으면서 국가 지원금을 받는다는게 무슨 말일까?
국민건강공단에서는 '건강생활실천 지원금 제도'라는 것을 운영하고 있다. 국민의 건강상태를 스스로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이 주도적으로 건강생활을 실천하고 개선하도록 하여 그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시범 사업에서는 건강 관리가 필요한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형', 일차의료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리형'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우선, 예방형에 대해 살펴보자.
'예방형' 참여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만 20세~64세 중 건강 관리가 필요한 국민으로, 체질량지수가 25.0kg/m2 이상이며, 혈압이 120(수축기)/80(이완기)mmHg 이상이거나 공복 혈당이 100mg/dL 이상인 국민이다.
다음으로 '관리형'에 대해 살펴보자.
'관리형' 참여 대상자는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 사업에 등록한 고혈압 또는 당뇨병 환자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하여 케어플랜을 수립해야 참여 가능하다.
시범 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1) 먼저 본인이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 사업을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참여신청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사업을 신청할 수 있는 대상자인지, 대상자라면 둘 중 어디에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2) 참여 신청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가능한데, 온라인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혹은 'The 건강보험앱'의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참여신청 탭에서 신청할 수 있다. 오프라인은 시범지역을 관할하는 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다. (지사위치 알아보기 클릭!)
국민건강보험
이벤트 1 / 8
www.nhis.or.kr
지사찾기
해당 지역을 클릭하시면 상세한 지사의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지도 서울(전국지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각 시,도별 (서울,인천,경기,강원,충북,세종,충남,대전,경북,대구,전북,전남
www.nhis.or.kr
자세한 참여 신청은 동영상(클릭!)을 통해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여 지원금 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추운 겨울! 당뇨 관리하고 지원금 받아가세요~
추위는 당뇨의 적이다. 계절과 당뇨가 상관이 있을까 싶었는데, 당뇨 전 단계의 삶을 살기 시작하면서 사계절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겨울의 경우 움추러드는
suddenlyda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