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트렌스 지방을 피하라! 그리고 당뇨 지원금 받는 법
당뇨에 걸리면 일단 식재료의 성분 분석표를 정독하는 삶을 살게 된다. 그 중 가장 신경 써야하는 것이 바로 트렌스 지방이다. 트렌스 지방은 기본적으로는 식물성 오일을 가공할 때 발생하며, 부분 수소화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오일의 안정성을 높이고 식품의 유통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스 지방은 식용유 및 식품 제조업에서 주로 사용되며, 특히 튀김 음식, 빵, 과자 등 다양한 가공 식품에 추가된다. 트렌스 지방이 정확히 뭔지 몰라도 일단 '튀긴 음식, 빵, 과자' 라는 단어와 식품의 유통기한을 늘리는데 사용된다는 것 만으로도 몸에 썩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몸에 악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자.
[트렌스 지방 나빠!] 편
1. 인슐린 저항성 증가: 트랜스지방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당뇨 환자에게 불리하다. 2. 혈당 조절 어려움: 트랜스지방은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하여 당뇨 환자의 혈당 수준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3. 동맥 경화 증가: 트랜스지방은 동맥 경화를 촉진하여 혈관 건강을 저해한다. 4. 콜레스테롤 수치 악화: 트랜스지방은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5. 혈관 염증 증가: 트랜스지방은 혈관 내 염증을 유발하여 동맥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6. 비만 증가: 트랜스지방은 식사로부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 비만을 촉진한다. 7. 지속적인 열량 섭취 유도: 트랜스지방은 높은 열량을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열량의 식사를 유도한다. 8. 인슐린 분비 감소: 트랜스지방은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켜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든다. 9. 전신 염증 증가: 트랜스지방은 전신적인 염증을 유발하여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10. 대사 증후군 발생: 트랜스지방 섭취는 대사 증후군을 유발하여 당뇨 환자에게 부가적인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11. 감수성 인슐린 저하: 트랜스지방은 감수성 인슐린을 저하시켜 세포의 혈당 흡수를 어렵게 만든다. 12. 체지방 증가: 트랜스지방은 체지방을 늘리는 영향을 미쳐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3. 지방간 증가: 트랜스지방은 간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촉진하여 간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 14. 고혈압 발생 위험: 트랜스지방은 고혈압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15. 동맥 혈전 위험 증가: 트랜스지방은 혈소판의 응집을 촉진하여 혈전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16. 피로도 증가: 트랜스지방이 많은 식사는 에너지 불균형을 초래하여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17. 면역 기능 저하: 트랜스지방은 면역 기능을 약화시켜 감염과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을 높인다. 18. 비만 관련 질환 발생 위험: 트랜스지방은 비만 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19. 식욕 조절 어려움: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은 식욕을 조절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20. 급성 췌장염 가능성 증가: 트랜스지방 섭취가 높을 경우 급성 췌장염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써놓고 보니 좋은 점이라고는 하나 없어보인다. 심난하다.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삶이 시작되었다. 매일 무너진 외양간을 어떻게 고쳐나갈지에 대한 고민의 연속이다. 문부터 고칠지, 벽부터 세울지, 지붕에 난 구멍부터 메워야할지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튼튼한 외양간을 얻게 될 것이다. 무엇을 우선으로 하던 내가 갖게 될 튼튼한 외양간을 향해 한걸음씩 나아가야겠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만 20~64세 중 건강관리가 필요한 국민 및 일차의료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등록한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생활실천지원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예방형 시범 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부천시, 대전광역시 대덕구,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완주군, 전라남도 완도군, 부산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 남구·달성군, 경상남도 김해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리형 시범 지역]
서울특별시 중랑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서구, 경기도 남양주시, 대전광역시 동구, 광주광역시 서구, 전라남도 순천시, 대구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북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아래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로고를 클릭하면 내가 시범 사업 자격에 해당하는지, 신청 방법은 무엇인지 확인 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