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의 수도 무자파라바드 근처에서 인도 미사일 공격으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손상된 건물을 군인이 검사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군사적 충돌 개시
인도는 5월 7일 새벽, '신두르 작전'을 개시하며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에 있는 테러리스트 기반 시설 9곳을 미사일로 공격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이번 작전이 파키스탄의 테러리스트들이 인도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고 지시하는 장소를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에 즉각적으로 반격에 나섰으며, 인도의 전투기 2대와 무인기 1대를 격추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두 나라의 군은 실질 통제선(LAC) 곳곳에서 교전을 벌였고, 이러한 상황은 국제사회의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인명 피해
파키스탄에서는 미사일 공격으로8명이 사망하고,35명이 부상을 당했으며,2명이 실종된 상태입니다. 특히 민간인 지역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어린이들도 피해를 입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피해를 입은 지역은 대부분 주거지와 상업 지구였으며, 일부 건물은 폭발로 초토화되었습니다. 민간인 피해가 발생한 것은 양국의 군사적 충돌이 전선 이외의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파키스탄의 대응
파키스탄은 인도의 공격에 맞서영공을 48시간 동안 폐쇄하며, 모든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특히 공격을 받은 펀자브주와 주변 지역에서휴교령을 내렸습니다.
파키스탄 정부는 인도의 공격을 "전쟁 행위"로 간주하며, 강력한 대응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추가적인 군사적 보복과 외교적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습니다.
7일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내 테러 캠프 인근 언덕 위에서 신호탄이 하늘로 솟아오르고 있다. /AFP 연합뉴스
✦배경
이번 군사적 충돌은2025년 4월 22일인도령 카슈미르의 파할감 인근에서 발생한총기 테러사건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테러 사건으로 최소26명이 사망하고,17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인도는 파키스탄을 테러의 배후로 지목했습니다.
이 사건 이후, 인도는 파키스탄과의무역을 중단하고,인도인 비자 취소,파키스탄 항공기 영공 진입 금지등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이에 대해파키스탄은 연관성을 부인하며,중립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한편,항공기 영공 진입 금지와 같은 대응을 이어갔습니다.
✦국제사회 반응
유엔과 국제사회는 두 나라가핵 보유국이라는 점에서 이 충돌이 확전될 가능성에 대해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양국 간 군사적 대립을 감당할 수 없다며 긴급히 군사적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또한, 유엔 사무총장안토니우 구테흐스는 이번 사태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내며, 양국이 군사적 충돌을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한 외교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핵전쟁으로의 확대를 방지하려는 국제사회의 전방위적인 압박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현재 상황
양국 간의 긴장은 여전히 고조되고 있으며,실질 통제선인근에서소규모 교전이 12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도는 파키스탄으로 흐르는인더스강 지류 강물 차단조치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이는 물 자원을 둘러싼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조치로, 파키스탄은 이를전쟁 행위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번 상황을핵 공격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경고하고 있습니다. 두 나라 모두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충돌이 전면적인 군사 충돌로 확전될 위험성이 크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