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위험! 30세 이상 성인의 1/3이 고혈압입니다!

by 서든리당 2023. 12. 7.

 

우리나라의 30세 이상 성인의 28.9%(남자의 30.1%, 여자의 27.7%)가 고혈압 환자라고 한다. 또한 65세 이상의 경우 60.7%가 고혈압이다. 이렇게 대다수의 성인이 고혈압에 시달리고 있는데, 고혈압이란 대체 무엇인가?

 

고혈압은 혈압이 정상 수치를 넘어선 상태로,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밀어내어 동맥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낸다. 혈압은 일반적으로 밀리미터 수분히오퀴리 (mmHg)로 표시되며, 이는 혈압계로 측정할 수 있다.

혈압은 크게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두 가지로 나뉜다.

1) 수축기 혈압 (Systolic Blood Pressure, SBP):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동맥으로 밀어내는 압력.

2) 이완기 혈압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심장이 이완하여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오는 동안 동맥에서 가해지는 압력.

 

일반적인 혈압은 120/80 mmHg로 간주되며, 이 중 120은 수축기 혈압, 80은 이완기 혈압을 나타낸다.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고,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인 상태를 의미한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하는데, 증상이 미미하거나 없을 수 있어서 눈치채기 어렵다. 그러나 지속적인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신부전, 심부전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고혈압의 원인은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뉠 수 있다.

1) 본태성 고혈압

- 고혈압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 정확한 기전은 알 수가 없다.

- 위험인자들이 모여서 발생하는데,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로는 비만, 운동부족, 흡연, 엽분 섭취, 음주,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조절 불가능 위험인자로는 연령, 가족력, 인종 등이 있다.

 

2) 이차성 고혈압

- 고혈압 환자의 5~10%를 차지한다.

- 원인으로는 신장질환(만성 신장질환, 신혈관성 고혈압), 부신질환(일차성 고알도스테론증, 쿠싱증후군, 갈색세푸증),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대동맥 축착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임신, 약물에 의한 영향 등이 있는데,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치료하면 완치되므로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반드시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출처:국민건강관리공단]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다. 고혈압이 심하다고 해도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 고혈압 자체로 인한 증상보다 고혈압에 의한 장기의 손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래서 반드시 혈압을 측정해야만 확인이 가능하다. 두통은 매우 심한 고혈압에서만 나타나며, 이 경우에도 대부분 잠에서 깨어날 때 머리 뒤쪽에 국한되며, 몇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즉, 증상이 없다고 고혈압이 없는 것이 아니므로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검진을 받고 그에 따른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은 관리되지 않으면 심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질환(뇌졸중), 신장질환, 비뇨생식기질환, 안과질환 등 우리 몸 전반에 걸쳐 합병증을 일으키고 목숨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약 50%는 관상동맥 질환이나 심부전으로, 약 33%는 뇌졸중으로, 10~15%는 신부전으로 사망한다.

 

국민건강관리공단에서는 고혈압과 관련된 각종 사이트, 복약 정보, 생활습관, 합병증 및 식사 정보에 대한 내용을 홈페이지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클릭!!). 현재 고혈압 환자이거나 관심이 있는 분들은 사이트에 방문하여 나에게 맞는 정보를 찾아볼 것은 권한다.

 

이미지 클릭!!!